세상이야기(정치. 사회. 정보. 문화. 철학. 연예. 여행. 영혼여행)

2분법적 사고·양비론 & 정도론(중화론)·양미론. No2

부자공간 2022. 4. 23. 22:21
반응형

2분법적 사고·양비론 & 정도론(중화론)·양미론. No2

 

4. 보수·진보·중도론 & 창조적 조화론

 

존재하는 모든 것은 창조 목적을 갖는 법이다. 그런데 21C를 맞이한 지금까지도 우리 인류는 “창조적 프로그램”인 궁극의 창조 목 적과 “인류의 시대정신”을 규정하는 잣대, 즉 시간성에 대한 이론 (理論)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완전한 철학의 부재로 누구나 인정하는 절대가치와 그 목적을 창출해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보수”와 “진보” 논쟁도 알고 보면 목적 없는 “진보”, 목적 없는 “보수”일뿐이다. 무엇을 위한 “진보”이며, 무엇을 지향한 “보수”인가에 대한 창조 목적을 갖지 않는다. 이런 사유의 혼돈을 근본적으로 치유하지 못하면 국민통합도, 남북통일도, 그리 고 세계평화도 결코 불가능한 법이다.

 

5. 창조적 조화(調和 : 목적적 진보, 목적적 보수)론

 

보수와 진보라는 개념은 창조목적의 프로그램을 성취해 가는 과정 중에서 “인생의 의의”와 우주의 “창조 목적”과 그리고 “역사의 방향성”에 의한 “시대정신”이라는 세 가지 바로미터를 규정하 고 난 이후에 올바로 평가할 수 있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첫째 “인간의 존재 의의”는 무엇이며, 둘째 “역사와 국가체제는 무엇을 향하여 어떻게 진행하는가?”가 그것이며, 셋째 “우리는 시간 적으 로 역사의 어디쯤에 서 있는가?”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요청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첫째 종교적 가치인 “사랑, 자비, 박애는 무엇”이며, 둘째 정치적 가치인 “사회제도는 왜 완성시켜야 하는 것”이며, 셋 째 시간적, 공간적 가치인 그것은 “언제’ 어떻게 이뤄야 하는가?”에 대한 철학적 절대가치가 있어야 완전한 판결과 함께 그 대안을 찾을 수가 있다. 「성학·성약-평화철학·부활 신학」인 “창조 후 성장론”은 창조 목적과 역사의 방향성, 그리고 시대정신의 때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다.

 

창조의 근본은 사랑이다. 역사의 방향성은 시계방향과 도 같이 “부자관계”, “형제관계”, “부부관계”를 이루며, 즉 “수직”에 서 “사선”을 진 쳐 “수평”으로 가게 되며, 21C 인류의 나이는 21살 과도 같기에, 그 “영성(靈性)”에 있어서 [진나-성령]과의 “결혼기”요, “상속기”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성나-절나]와의 결혼 기는 성령기(聖靈期)를 통과 한 이후에 가능 - 따라서 목적성을 갖는 진보와 보수를 우리는 “창조 적 조화론자”라 명명해야 한다

 

6. 공존(共存)·공생주의(共生)·대동(大同主義)

 

새로운 사유의 방식인 “중화론”과 “양미론”에 의한 “공존”·“공 생”·“대동”의 개념은 질적이고 가치적인 사유의 산물이다. 상대에 대해 ‘상’·‘중’·‘하’의 가치를 매겨 그 가치만큼의 “역할분담”을 나누기 때문에, “내편”이 아니면 배척하는 ‘차별성’을 갖지 않죠. 단 지 그것의 가치를 구분할 뿐, 우리라는 어우러짐을 생각할 뿐이다. 이것을 오강남 교수는 “ ‘뭉치는 것’과 ‘한 가지가 되는 것’의 차 이를 예로 들어, 전자는 양미론적 사유로서 “이것 ‘도’ 살리고, 저것 ‘도’ 살린다는 뜻에서, 일명 ”도도 주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후자는 양비론적 사유로서 “이것이 ‘냐’, 저것이 ‘냐’ 둘 중 하나로 하나 가 된다는 이항대립(移項對立)이나 양자택일(兩者擇一)의 의미에서 “냐 냐주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했다. 따라서 “양미론”은 “정(情)”의 관계의 산물이다. 왜냐하면, 존재들 사이의 관계를 계약관계로 보지 않고, 형제 관계와 같은 대가 족주 의, 사해 동포 주의, 대동 주의에 의한 사유체계이기 때문에 상대의 사소한 잘못 정도는 큰마음으로 덮어주는 넓은 아량과 관용을 갖게 된다.

 

그러므로 “양미론”의 세계를 알게 되면 더 이상 저급한 속물 사상이 발붙일 수가 없게 된다

 

 

보수·진보·중도론 & 창조적 조화론
공존(共存)·공생주의(共生)·대동(大同主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