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법적 사고·양비론 & 정도론(중화론)·양미론. No1
1. 2분 법적 사고 & 양비론(兩非論)
“좌-우”, “보-진”과 같은 “2분법”과 “양비론(兩非論)”은 ‘나’와 생각 이 다른 상대를 “적(敵)”으로 규정하게 되는 사유의 방식이다. ‘나’와 생각이 같지 않은 존재를 분별하고 부정, 즉 아닐 비(非)의 사상이기 때문에, 생각이 다른 상대는 타도의 대상이 되고, 경멸의 대상이 되게 된다. 따라서 “2분 법적 사고”와 “양비론”은 모든 투쟁의 근본 원인을 양산해 내는 사유의 바이러스(Virus) 이론이다.
결국 ‘이원론’은 부 족한 인간이 만들어 낸 이념의 착시로써 타인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까지도 파탄시킬 수 있는 흉측한 자해 사상이며, ‘좌파’와 ‘우파’, ‘중간(중파)’의 개념이 이 두 사고에 의해 파생된다. 따라서 ‘양(兩)’ 이론은 사고의 파편이며, 사유의 편협성에 기초한 부정적 사유체계이다.
예를 들어 지리산을 산의 “가치(목적)”로 보지 않고 어디에 있느냐 의 ‘위치’를 두고서 서로 다투는 것과도 같이 말이다. - 동, 서, 남, 북 / 어떤 형태 등(소동파의 여산 예찬처럼) - 종교학박사이자 캐나다 리자이나대학교 오강남 명예교수는 “우 리말에 한 가지 놀라운 사실은 “다르다(different)”와 “틀리다(wrong)” 가 동의어로 쓰인다.”는 것이다. “사과가 오렌지와 “다르다”라고 해도 되고 “틀리다”라고 해도 된다. 다시 말하면 “너는 뭔가 다르다”라고 하는 것은 곧 “너는 뭔가 틀리다”가 되는 셈인데, 이것이 나아가 “너 는 뭔가 글러먹었다”와 통한다는 것이다.
이런식으로 생각하면 나하고 다른 것은 모두 다 틀린 것, 글러 먹은 것이라는 독선에 이르기가 십상이다. “서양말에도 사정은 비슷하다. 이단(異端)을 나타내는 영어단어 “heresy”나 “heterodox” 는 어원적으로 그냥 “다르다”거나 “다른 생각”이라는 뜻인데, 결국 그것을 사상적으로나 교리적으로 어떤 생각이 다수의 생각과 다르 면, 그 다름으로 인해 “옳지 못한 생각”이 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다.”라고 했다
2. 중도론(中道·中途論)
“중도(中途)론”도 본래의 원뜻은 양자를 다 아우르는 개념이지만 깨 달음을 얻지 못한 미숙하고 부족한 존재는 한쪽으로 치우칠 수밖에 없어서 상대를 배척하게 되는 위험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해 중도는 양쪽을 다 아우르는 개념도 있지만, 중간지대, 즉 양쪽의 “중간”과 같은 “중파(中派)”일뿐, 전체를 통틀어 하나로 묶은 “정도正道”-“중화中 和”와는 다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중도론”은 “양비 론적 중도”일뿐, “중화론”과 “양미론”에 기초를 둔 “정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3. 중화론(中和論)·양미론(兩未論)
“중화(中和)”의 사전적 의미는 덕성(德性)이 바르고 행실이 떳떳하며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중용(中庸)”에; “희로애락 이 발(發) 하기 전을 “중(中)”이라 하고, 발하여 절도에 맞는 것을 “화 (和)”라 한다. “중은 천하의 대본(大本)이요”, “화는 천하의 달도(達道)이 다”. “중화(中和)”에 이르게 하면 천지가 자리 잡히며, 만물이 발육된 다. “라고 했다.
“양미론(兩未論)”은 “양 부족론(兩否足論)”이라고도 한다. 상대가 자신보다 부족하고, 어린 존재로 인식하는 가치관이다. 자녀와 학생은 부모와 스승에 비해 부족한 존재이며, ‘일반인’과 ‘소인’은 ‘성인’과 ‘군자(君子)’에 비해 또한 부족한 존재이다. 따라서 가치관이 높은 사 람(어른, 완성자, 가진 자, 강자)은 베풀 수 있는 존재요, 가치관이 낮으며 부족한 존재(어린이, 미완 성자, 가난한 자, 없는 자, 약자)는 도움을 받아야 하는 존재이다.
'세상이야기(정치. 사회. 정보. 문화. 철학. 연예. 여행. 영혼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당신도 반드시 노인이 된다! 제1편 (0) | 2022.04.24 |
---|---|
2분법적 사고·양비론 & 정도론(중화론)·양미론. No4 (0) | 2022.04.23 |
2분법적 사고·양비론 & 정도론(중화론)·양미론. No3 (0) | 2022.04.23 |
2분법적 사고·양비론 & 정도론(중화론)·양미론. No2 (0) | 2022.04.23 |
인간의 일생과 인류의 역사(歷史)는 닮은꼴 (0) | 2022.04.23 |
<창조적 성장론과 인류의 문화사> (0) | 2022.04.23 |
2. 인간의 일생과 인류의 역사(歷史)는 닮은꼴이며 (0) | 2022.04.23 |
성학·성약-부활신학 3 (0) | 202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