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춘분(春分)은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2025년 춘분은 3월 20일
춘분(春分)은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경칩(驚蟄)과 청명(淸明) 사이에 있다. 양력 3월 21일경으로, 태양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어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이다. 이때부터 낮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기 시작한다.
■ 춘분의 의미
천문학적 의미: 태양의 중심이 춘분점(春分點) 위에 왔을 때를 의미하며,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적도를 통과하는 시점이다.
계절적 의미: 북반구에서는 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기이며, 남반구에서는 가을이 시작된다.
농경적 의미: 농사일을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로, 농부들은 씨앗을 뿌리고 밭을 갈며 농사 준비에 분주하다.
■ 춘분의 풍습
농사 준비: 농부들은 춘분부터 본격적인 농사 준비를 시작한다. 씨앗을 뿌리고 밭을 갈며, 농기구를 점검한다.
봄나물 섭취: 봄나물은 춘분 무렵에 가장 맛이 좋고 영양가가 풍부하다. 냉이, 달래, 쑥 등 봄나물을 섭취하며 봄의 기운을 느낀다.
꽃샘추위 주의: 춘분 무렵에는 꽃샘추위가 찾아올 수 있으므로, 건강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 춘분 관련 속담
"2월 바람에 김칫독 깨진다.": 춘분 무렵의 바람이 매섭다는 것을 의미한다.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꽃샘추위가 노약자에게 위험할 수 있음을 경고한다.
■ 2025년 춘분 2025년 춘분은 3월 20일이다.

반응형
'세상이야기(정치. 사회. 정보. 문화. 철학. 연예. 여행. 영혼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은 스스로 개혁하는 중... 우리 사회의 어른들... (1) | 2025.03.20 |
---|---|
2025년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가 순위 '핀란드가 8년 연속 1위' (1) | 2025.03.20 |
정규재 보수 논객... 나는 '이재명이 악마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1) | 2025.03.20 |
대한민국은 말에 모두가 놀아나는... 김건희 여사가 한 말이 또 도마에 (2) | 2025.03.20 |
영현백(英顯백)과 종이관은 어디에 사용하려 했는가...? (1) | 2025.03.19 |
한동훈은 그날(2025.12.03)... 엿 된 게 아니라 용龍됐다... (2) | 2025.03.19 |
한동훈은 현재 정치인으로 폭풍 성장 중... 대구 경북대 초청 강연에서... (4) | 2025.03.18 |
대한민국은 스스로 개혁하는 중... 찐 보수 정규재 주필의 생각 (1)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