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야기(정치. 사회. 정보. 문화. 철학. 연예. 여행. 영혼여행)

영현백(英顯백)과 종이관은 어디에 사용하려 했는가...?

부자공간 2025. 3. 19. 11:15
반응형

'영현백'과 '종이관'은 모두 시신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지만 중요한 차이점

왜 이런 뉴스가 나올까?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지 않는 일은 절대로 하늘이 용서하지 않는 것이다...? 사람은 속여도 허공虛空과 하늘은 속이지 못하는 것이다. 

 

허공虛空이 가장 무서운 줄 알아야 한다.

 

'영현백(英賢伯)'은 조선 시대에 공신이나 왕의 사위에게 내리는 작위로, 군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아니다. 다만, '영현(英顯)'이라는 단어는 군대에서 전사자 또는 순직자의 시신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육군이 구매한 '영현백'은 시신을 담는 가방을 의미하며, 조선 시대 작위와는 관련이 없다. 시신을 담는 '영현백'과 '종이관'은 모두 시신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 영현백 (英顯백)

 

※ 용도:

 

주로 시신을 임시로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된다.

 

천이나 비닐 재질로 만들어져 유연하고 휴대가 용이하다.

 

※ 특징:

 

방수 기능이 있어 체액 유출을 막아준다.

 

휴대가 간편하고 보관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

 

주로 군이나 재난 현장 등에서 사용된다.

 

■ 종이관 (종이棺)

 

※ 용도:

 

주로 장례식에서 시신을 안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종이 재질로 만들어져 친환경적이며, 화장 시 유해 물질 발생을 줄여준다.

 

※ 특징:

 

나무관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화장 시 유해 물질 발생을 줄여 환경 친화적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디자인과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칼럼] 군의 '시신 대비', 민주주의의 위기를 알리는 경고음

- 3000개의 영현백이 드러낸 우리 사회의 민낯 2025년 3월 18일, 대한민국은 충격적인 사실과 마주했다. 군...

blog.naver.com

 

 

비상계엄 시신 대비 의혹…군, '종이관 1천개' 구매 타진 - 미디어스

[미디어스=송창한 기자] 군이 12·3 비상계엄 내란 사태를 앞두고 시체를 담는 종이관 구매를 타진하고, 시신을 임시 보관하는 영현백 3000개를 구매했다는 언론보도가 나왔다. 12·3 비상계엄의 비

www.mediaus.co.kr

 

■ 영현백(英顯백)과 종이관 사용 용도 비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