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야기(정치. 사회. 정보. 문화. 철학. 연예. 여행. 영혼여행)

대한민국은 스스로 개혁하는 중... 조갑제 대표 실사구시(實事求是) 탄핵 날

부자공간 2025. 4. 5. 08:58
반응형

대한민국은 스스로 개혁하는 중... 찐 보수 조갑제 대표 실사구시(實事求是) 탄핵 날

실사구시(實事求是)는 '사실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한다'는 뜻의 사자성어이다. 이 말은 본래 중국 한나라 때의 역사가 반고(班固)가 편찬한 역사서 《한서(漢書)》의 '하간헌왕전(河間獻王傳)'에 나오는 말이다.

 

■ 기원 및 역사적 배경

 

중국 한나라: 《한서(漢書)》의 '하간헌왕전(河間獻王傳)'에서 유래되었다. 하간헌왕은 고서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을 좋아했는데, 사람들이 그를 가리켜 "학문 연구를 즐길 뿐만 아니라 옛 서적을 좋아하며, 항상 사실로부터 옳은 결론을 얻어낸다(修學好古 實事求是)"고 했다.

 

중국 청나라: 청나라 시대의 고증학자들이 성리학이나 양명학이 지나치게 관념론에 빠지는 것을 비판하며, 경전의 자구에 대해 엄격하게 고증할 것을 주장했습니다. 이들은 실사구시를 학문적 방법론으로 내세웠다.

 

조선시대: 조선 후기에 실학자들이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아 실사구시를 중요하게 여겼다. 김정희는 특히 실사구시를 강조하며, 경험과 관찰을 통해 진리를 탐구하는 태도를 중요하게 여겼다.

 

■ 의미와 중요성

 

실사구시는 단순히 옛것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진리를 탐구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이는 현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오늘날에도 실사구시는 학문 연구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위한 중요한 원칙으로 여겨진다.

 

 

■ 한국에서의 실사구시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실사구시를 통해 현실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를 개혁하려 했다.

 

정약용은 실사구시를 바탕으로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실용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김정희는 실사구시를 통해 학문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조선 후기 학문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현대적 의미

 

오늘날 실사구시는 객관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태도를 의미한다.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실사구시의 태도는 잘못된 정보에 현혹되지 않고 올바른 판단을 내리는 데 필수적이다.

 

 

 

반응형